사이트 등록 첫번째, 먼저 가장 큰것 부터 시작해보자. 사용자 편의를 위해 생각보다 쉽게 등록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니, 순서대로 차근차근 따라오면 금새 등록할 수 있을것이다. 구글 서치 콘솔이란게 사이트를 등록하는것으로만 알고 있다면 조금 아쉽다. 사이트 등록 후 안 보게되더라도 내가 사이트를 등록하는 곳의 기능에 대해 한번은 훑고 지나갈 필요가 있다. 구글 서치 콘솔(Google Search Console)이란? Google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서비스로, 사이트의 검색결과에 대한 개선점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내 사이트를 크롤링(정보 수집)할 수 있는지를 확인한다거나, 색인 생성(분류)에 문제가 있다면 다시 신청을 할 수도 있다. 자세한 설명은 역시 구글 본인들이 설명한 본문 내용..
이전에 다른 블로그를 오래 했다보니 아무래도 노출에 대해 신경이 쓰일 수 밖에 없다. 내가 티스토리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결국 구글 애드센스를 통한 광고수익인데.. 그러려면 어쨌든 내 글이 상단에 잘 위치해 있어야 10명중 1명이라도 실수라도 눌러보지 않을까 그래서 필요한 것이 바로 검색엔진최적화(SEO)이다.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그냥 열심히 글만 쓴다면, 방문자는 늘지 않고 점점 지쳐 결국 블로그를 접게 될것이다. 이왕 하는거 전문가들이 관리해주는 정도는 아니더라도, 라이트 유저들이 할 수 있는 영역 내에서 밑작업 후 효율성을 얻어보도록 하자. 검색엔진최적화(SEO)는 정확히 뭘까? 글자 그대로다. 검색엔진에 최적화시키는것. 더 정확히는 '글이 검색엔진에 최적화되어 상단에 잘 노출되도록 하는것'..
얼마전부터 시작한 티스토리 많은 사람들이 블로그를 선택할때 대표적으로 네이버, 카카오, 워드프레스를 두고 많이 고민한다.그리고 몰랐는데 구글도 블로그가 있었더라. 블로그 스팟이라고..이래저래 여러 정보들을 찾아보니.. 비유하기를 무인도.. 전문가용 이것저것 실험하는 블로그.. 등등정말 제대로 블로그를 하려는 사람에게는 매력적이지 않아 보여 제외했다.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나도 고민을 정말 많이하고 블로그를 선택했다. 물론 잘 정리된 여러 글들이 있어 그것도 많이 참고 했었다. 나는 그렇게 상세히 구분까진 못하겠고, 그냥 생각나는대로 읊어보도록 하겠다. 1. 네이버 블로그 + 한국 검색 엔진 1위 가장 큰 장점이라고 생각된다. 오랜 시간 한국 검색엔진의 강자로써 살아있으며, 적어도 한국에서는 국민 검색..
DHCP는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의 약자로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이라고 한다. IP를 자동으로 할당될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인건데, 특정 장치에 DHCP가 구성되어 있으면 "얘가 DHCP 서버 역할을 하는구나.." 라고 할 수 있다. 일반 개인 사용자들의 집에는 보통 통신 3사 (KT, SKT, LG)의 와이파이 기계들이 이 역할을 이미 하고 있다. 집안 곳곳에 있는 랜 케이블 구멍은 모두 이 와이파이 기계와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TV든, 개인 와이파이 기계든, 컴퓨터든, 노트북이든.. 랜 케이블을 꽂게 되면 DHCP를 이용한 IP 자동 할당이 가능하게 된다. 위 그림과 같이 IP, Subnet Mask, Default Gateway, DNS까지 모두 DH..
윈도우 레지스트리(Windows Registry)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32/64비트 버전과 윈도우 모바일 운영 체제의 설정과 선택 항목을 담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 모든 하드웨어,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 대부분의 비운영 체제 소프트웨어, 사용자 PC 선호도 등에 대한 정보와 설정이 들어 있다. 사용자가 제어판 설정, 파일 연결, 시스템 정책, 또는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변경하면, 이에 따른 변경 사항들이 레지스트리에 반영되어 저장된다. 위에 설명은 위키에서 제공하는 설명으로, 시스템 관리자들은 더욱 심도 있게 이해할 수 있는 문구라 할 수 있겠다. 저 문장들을 초보들도 이해하기 쉽도록 바꿔보도록 하겠다. 윈도우 레지스트리(Windows Registry)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32/64비트 버전과 윈도..
Windows에서 cmd란 명령 프롬프트라고 해서 명령어 인터프리터이다. 많은 부분들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형태로 대체 되었지만, 텍스트로 기반을 통해 가볍고 즉각적인 상호작용으로 피드백 할 수 있기 때문에 아직도 많은 사용자들이 선호하고 있다. 특히 프로그래머나, 시스템 관리자, 공학 및 과학 분야 종사자, 고급 기술을 가진 개인 사용자들이 여전히 주로 사용하고 있다. 실행 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1. 윈도우 버튼 눌러서 바로 cmd를 쳐보면 명령 프롬프트라는 것이 검색될텐데, 이것을 실행하는 방법. 2. 윈도우 버튼 + R 실행 창을 켜서 cmd 입력하여 엔터. 3. C:\WINDOWS\system32 해당 경로의 cmd.exe를 더블클릭하여 실행. 뭐가 더 있을까.. 아 이 방법도 가능하..